반응형 용어 사전103 SaaS(Software as a Service)란? SaaS(Software as a Service)란? 소프트웨어 서비스 (Software as a Service, SaaS)는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의 한 형태로,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구매 및 설치 방식과는 달리 SaaS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소프트웨어에 접근하고, 사용자는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구매하거나,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할 필요 없이 웹 브라우저나 API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구독하는 방식으로 이용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설치나 관리 없이 필요한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SaaS는 일반적으로 서브스크립션 방식으로 요금을 부과하며, 사용자는 필요한 기능과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합니다. SaaS의 주요 특징 멀티 테넌시 (Multi-ten.. 2023. 6. 9. MRR(Monthly Recurring Revenue)이란? MRR(Monthly Recurring Revenue)이란? 월간 반복 수익(Monthly Recurring Revenue, MRR)는 기업이 월별로 얼마나 많은 수익을 반복해서 발생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구독 기반 비즈니스 모델이나 SaaS (Software as a Service)와 같은 서비스 기반 비즈니스 모델에서 사용되는 수익 측정 방법으로, 이 모델은 고객이 월별 또는 정기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고 그에 따른 월간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에 적용되며 기업의 성장과 재무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MRR 계산법 1. 신규 고객의 월간 수익: 새로운 고객이 구독을 시작하여 발생한 월별 수익입니다. 이는 새로운 고객이 가입한 요금제의 가격으로 계산됩니다. 2. 기존 고객의 월간 수.. 2023. 6. 8. ARR(Annual Recurring Revenue)이란? ARR(Annual Recurring Revenue)이란? Annual Recurring Revenue (ARR)은 회사나 비즈니스 모델의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로, 특히 SaaS(Software as a Service)와 같은 구독 기반 비즈니스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ARR은 말 그대로 연간 재발생 수익을 의미하며, 구독서비스나 재발생하는 매출로부터 얻어진다는 점에서 주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즉, ARR은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으로부터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반복적인 매출을 연간 기준으로 정규화한 지표로, 주로 구독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기업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고객이 일년 내에 생성할 것으로 예측되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매출을 측정하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 2023. 6. 7. KGI(Key Goal Indicator)란? KGI(Key Goal Indicator)란? KGI는 Key Goal Indicator의 약어로 핵심 목표 지표를 의미합니다. KGI는 조직이나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를 평가하고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정량적인 측정 항목으로, 조직이 중요하게 여기는 목표와 관련된 주요 성과 지표를 선택하여 설정됩니다. KGI는 조직이 성공을 측정하고 발전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데 도움을 주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나 노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매출 증가를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면, 매출액이나 매출 성장률과 같은 KGI를 추적하여 목표 달성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KGI는 주로 스마트 목표 설정(SMART goal setting)과 관련하여 사용되는데 스마트 목표는 구체적(S.. 2023. 6. 6.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란?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란? KPI는 Key Performance Indicator의 약어로 핵심 성과 지표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KPI는 팀이나 개인의 주요 업무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로,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과정이 적절하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KPI는 조직의 성과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정의된 지표라고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매출액, 이익, 고객 만족도, 생산성, 비용 절감 등과 같은 KPI는 조직의 핵심 업무 성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KPI 설정 방법 1. 목표 설정: KPI를 설정하기 전에 먼저 목표를 설정해야 합니다. 회사의 장기적인 목표나 특정 프로젝트의.. 2023. 6. 5. CDP(Customer Data Platform)란? CDP(Customer Data Platform)란? 고객 데이터 플랫폼(CDP, Customer Data Platform)은 기업이 다양한 소스에서 수집한 고객 데이터를 통합, 관리 및 분석하기 위한 솔루션입니다. CDP는 마케팅, 판매 및 고객 경험 향상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고객 데이터를 식별하고 통합해 개별 고객에 대한 통찰력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개인화된 마케팅 활동과 고객 경험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DP는 다양한 소스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통합하는데 이러한 데이터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채널에서 발생하는 웹사이트 로그, 모바일 앱 사용 데이터, 소셜 미디어 활동, 이메일 및 콜센터 상호작용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CDP는 이러한 데이터를 식별하여 개인을 구분하고 통합 .. 2023. 6. 4. DMP(Digital Management Platform)란? DMP(Digital Management Platform)란? DMP(Digital Management Platform)는 다양한 데이터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체계화하며 활용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주는 플랫폼입니다. 다음은 DMP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입니다 - 데이터 수집과 분석 DMP는 제1자 데이터(기업이 직접 수집한 데이터), 제2자 데이터(다른 기업과 공유된 데이터), 제3자 데이터(외부 데이터 브로커로부터 구매한 데이터) 등 다양한 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 행동 패턴, 관심사, 구매 기록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체계화 수집한 데이터를 사전에 정의된 비즈니스 목표와 마케팅 모델에 따라 카테고리와.. 2023. 6. 3. 이전 1 ··· 4 5 6 7 8 9 10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