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용어 사전103 씬 프로비저닝(Thin provisioning)이란? 씬 프로비저닝(Thin provisioning)이란? 씬 프로비저닝은 스토리지 용량을 최적화하여 필요한 용량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기존의 스토리지 프로비저닝과는 달리, 씬 프로비저닝은 물리적인 스토리지 공간을 초과하여 가상 스토리지 공간을 생성할 수 있으며, 실제 데이터가 쓰여질 때까지 물리적 디스크와 연결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스토리지 용량의 활용도를 최대한 높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씬 프로비저닝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스토리지 공간의 소비 상태를 관리하고 고가용성 및 확장 가능한 스토리지 프로비저닝 서비스를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 임계값 알림, 리소스 소모 핸들, 공간 회수 등의 기능을 활용합니다. - 임계값 알림: 씬 프로비저닝은 스토리지 공간 소비 상.. 2023. 6. 23.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란?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란? 하이퍼바이저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운영 체제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인 플랫폼입니다. 가상 머신 모니터 또는 가상 머신 매니저라고도 불리며, 컴퓨터의 하드웨어 자원을 가상화하여 각 운영 체제에 할당하고 관리합니다. 쉽게 말해 하이퍼바이저는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컴퓨터 안에 작은 가상 컴퓨터를 만들어주는데 이 가상 컴퓨터는 각각 다른 종류의 운영 체제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 서로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즉, 하이퍼바이저는 한 대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가상 컴퓨터를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하이퍼바이저의 역할은 큰 컴퓨터의 자원을 이 작은 가상 컴퓨터들에게 나눠주고 관리하는 것입니다. 각 가상 컴퓨터는 필.. 2023. 6. 22.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이란?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이란?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은 Windows 운영 체제에서 Linux 운영 체제를 실행할 수 있는 가상 환경을 말합니다. WSL을 설치하면 Windows 운영 체제에서 Linux 배포판(다양한 Linux 버전)을 선택하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WSL은 Windows와 Linux의 각각의 장점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능으로 WSL을 통해 Windows에서 Linux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Windows 사용자가 Linux 환경에서 제공하는 도구와 개발 환경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데, 예를 들자면 Linux의 강력한 명령줄 도구, 개발 언어 컴파일러, 서버 소프트웨어, 데.. 2023. 6. 21. 쿠버네티스(Kubernetes)란? 쿠버네티스(Kubernetes)란?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도구로서, 분산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오픈 소스 플랫폼입니다. 쿠버네티스는 클러스터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여러 물리적 또는 가상화된 머신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하고 오케스트레이션합니다.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기술인 도커(Docker)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관리, 스케일링을 자동화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일반적으로 도커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과 그에 필요한 모든 종속성을 포함한 독립적인 실행 환경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도커 컨테이너를 단일 개별적인 단위로만 다루면 복잡성이 증가하고 여러 개의 컨테이너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 2023. 6. 20. 도커(Docker)란? 도커(Docker)란? 도커(Docker)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 소스 가상화 플랫폼으로, 가상적인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 리눅스 커널의 '컨테이너' 기능을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도커는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을 가상화된 하드웨어 안에서 실행시키는 대신, 컨테이너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다른 프로세스나 컨테이너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 없는 작업을 처리하지 않아 자원의 낭비가 적습니다. 도커의 가장 중요한 개념은 "컨테이너"입니다. 컨테이너는 격리된 환경에서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경량화된 가상화 단위로 애플리케이션과 그에 필요한 모든 종속성(라이브러리, 실행 파일 등)을 컨테이너에 패키징하여 동일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 2023. 6. 19. 러버덕 디버깅(Rubber Duck Debugging)이란? 러버덕 디버깅(Rubber Duck Debugging)이란? 러버덕 디버깅은 개발자가 코드에서 버그를 찾고 해결하기 위해 마치 자신 앞에 있는 러버덕에게 문제를 설명하듯이 코드를 따라가며 버그를 찾아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 방법은 예상치 못한 동작이 발생하는 문제를 발견할 때까지 코드를 오리에게 설명하고 다시 설명하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개발자는 러버덕 디버깅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기가 쉬워집니다. 오리에게 코드를 설명하면서 자신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 무엇을 잘 모르고 있는지 메타인지할 수 있고 이 과정을 통해 문제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하고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러버덕 디버깅의 유래 러버덕 디버깅은 "실용주의 프로그래머"라는 책에서 시작된 개념입니다. 이 책은 1999년에 데.. 2023. 6. 18. 어드벤트 캘린더(Advent Calendar)란? 어드벤트 캘린더(Advent Calendar)란? 어드벤트 캘린더(Advent Calendar)는 크리스마스 전날인 12월 1일부터 크리스마스 이브인 12월 24일까지 총 24일 동안 사용하는 특별한 형태의 캘린더입니다. 주로 기념일이나 기간을 카운트다운하는데 사용되며, 크리스마스 이브를 기다리며 매일 하나씩 차례로 열어볼 수 있는 작은 칸이 마련되어 있고, 매일 매일 체크를 해나가는 캘린더입니다. 어드벤트 캘린더는 각 날짜에 해당하는 칸을 열면 작은 선물이나 서프라이즈가 숨겨져 있는데 처음에는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는 어린이들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성인들도 즐길 수 있는 인기 있는 전통이 되었습니다. IT 업계에서도 유명한 어드벤트 캘린더 이러한 전통은 IT 업계에도 이어져 크리스마스를 .. 2023. 6. 17.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