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04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이란?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이란? UML은 Unified Modeling Language의 줄임말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분석, 설계 및 문서화를 위한 표준화된 그림 언어입니다. UML 언어를 사용하면 우리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이해하고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UML은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시스템 구조, 동작 및 상호작용을 시각적으로 모델링하고 문서화하는데 사용되는데, 주로 객체지향 방법론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다이어그램 유형을 제공하여 시스템을 다양한 관점에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UML은 그림으로 이야기하는 언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UML은 1990년대에 Grady Booch, Ivar Jacobson 및 James Rumbaugh라는 세 명의.. 2023. 7. 8. WBS(Work Breakdown Structure)란? WBS(Work Breakdown Structure)란? WBS는 Work Breakdown Structure의 약자로, 프로젝트의 작업을 여러 계층으로 나누어 시각적으로 분류하고 프로젝트의 전체 범위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큰 프로젝트를 작은 단위로 분할해 보다 구체적이고 관리 가능한 작업 요소로 나누기 때문에 전체 프로젝트를 이해하고 조직화하는 데 편리합니다. WBS는 프로젝트의 작업을 더 작고 관리 가능한 단위로 분해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관리자와 팀원들이 프로젝트의 범위를 더 쉽게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는데, 각 계층은 하위 계층으로 분할되어 최상위 계층은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목표를 대표합니다. 이렇게 큰 프로젝트를 여러 계층 구조로 나누게 되면, 프로젝트 작업의 종속성,.. 2023. 7. 7. TDD(Test-Driven Development)란? TDD(Test-Driven Development)란? TDD(Test-Driven Development)는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고 할 수 있는데,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를 우선하여 작성하고 이를 통과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는 방법론입니다. TDD는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테스트를 작성하고 그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를 작성하는 사이클을 반복합니다. TDD의 핵심은 작은 단위의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이를 통과시키는 코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초기부터 안정성이 높은 코드를 개발하고 버그를 조기에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리팩토링을 통해 코드의 구조와 설계를 개선하면서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TDD 개발 주기 TDD의 .. 2023. 7. 6. 디플로이(Deploy)란? 디플로이(Deploy)란? 디플로이(Deploy)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컴파일된 코드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만들고,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환경에 배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 후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웹 서버에 디플로이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디플로이는 컴파일(compile)과 빌드(build)와 관련이 있는 용어로, 컴파일은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빌드는 컴파일된 코드를 실행 가능한 파일로 만드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러한 빌드 과정을 마치고 난 후에 디플로이가 이루어집니다. 위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해 컴파일, 빌드, 배포를 책을 번역하고 출간하는 과정에 빗대어.. 2023. 7. 5. MVP(Minimum Viable Product)란? MVP(Minimum Viable Product)란? MVP(Minimum Viable Product)는 우리말로 '최소 기능 제품'이라고 번역되며, 제품 개발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포함한 최소한의 버전을 말합니다. MVP는 초기 개발 단계에서 제품의 개념을 검증하고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며,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가치와 잠재적인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MVP 개발 원칙 1. 핵심 기능 MVP는 제품의 주요 목적과 가치를 충족시키는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기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제품의 주요 목표와 사용자 요구를 잘 파악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합니다. 그래서 사용자들이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가치.. 2023. 7. 4. 린 스타트업(Lean startup)이란? 린 스타트업(Lean startup)이란? 린 스타트업(Lean startup)은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빠르게 최소 기능 제품(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클라이언트의 반응을 수집하여 제품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경영 철학 및 방법론으로, 에릭 리스(Eric Ries)의 "린 스타트업"이라는 책에서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린 스타트업은 기업가 정신과 실험적인 접근을 강조하며 작은 단위로 빠른 실험과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지속적인 제품 개선과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린 스타트업은 빠른 속도, 피드백, 반복을 통해 낭비를 줄이는 것이 핵심 포인트입니다. 이 방법론은 신속하게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클라이언트의 피드백을 수렴하여 프로토타입을 빠르게 진화시킴으로써 시장에 대한 반응을 즉각적으로 테스.. 2023. 7. 3. 스프린트(Sprint)란? 스프린트(Sprint)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인 애자일(Agile)* 방법론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프로젝트를 작은 주기로 분할하여 점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식을 애자일 방법론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이러한 작은 개발 주기를 스프린트라고 합니다. 애자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단의 애자일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애자일(Agile)이란? 애자일(Agile)이란? 애자일(Agile)이란? 애자일(Agile)은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 중 하나로, 작업 계획을 짧은 단위로 세우고 이를 반복하여 시제품을 만들어 나가는 방법으로 고객의 요구 사항이 변화할 때 유연하고 신 tech1.tistory.com 스프린트는 애자일 방법론 중 하나인 스크럼*이라는 프레임 워크에서 사용되는데, 스프린트는 보통 .. 2023. 7. 2. 이전 1 2 3 4 5 6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