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4

HCI(Hyper-Converged Infrastructure)란? HCI(Hyper-Converged Infrastructure)란? HCI는 Hyper-Converged Infrastructure의 약어로, 서버,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리소스를 통합하여 단일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가상화 기술과 조합하여 하이퍼바이저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물리적인 하드웨어 리소스를 가상 리소스로 추상화합니다. HCI 시스템은 대개 3개 이상의 물리적인 서버 노드를 사용하며, 각 노드는 CPU, RAM,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리소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드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됩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HCI는 일반적인 서버 구성보다 더 높은 가용성, 확장성, 유연성 및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HC.. 2023. 5. 8.
MaaS(Mobility as a Service)란? MaaS(Mobility as a Service)란? MaaS는 "Mobility as a Service"의 약어로, 다양한 교통수단을 하나의 서비스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새로운 교통서비스 모델입니다. 이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공공 교통, 자전거 대여, 카셰어링, 택시 등의 교통서비스를 하나의 통합된 서비스로 제공하며, 사용자는 필요한 교통수단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MaaS는 대중교통, 개인용 자동차, 자전거, 전기스쿠터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며, 도시 교통체증 문제와 대기오염 해결 등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MaaS 서비스는 일회성 이용에서부터 구독형 이용까지 다양한 이용 방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이.. 2023. 5. 7.
IPoE(IP over Ethernet)란? IPoE(IP over Ethernet)란? IPoE는 이더넷 프레임을 사용하여 IP 패킷을 전송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이더넷은 LAN(Local Area Network)에서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IPoE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이더넷 기반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IPoE는 일반적으로 이더넷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데 이더넷 링크 계층은 이더넷 프레임의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더넷 프레임에는 송신자 및 수신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타입/길이 필드 등이 포함됩니다. IPoE는 이더넷 링크 계층의 데이터를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IPoE는 ISP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 2023. 5. 7.
NGN(Next-Generation Network)이란? NGN(Next-Generation Network)이란? NGN은 "Next-Generation Network"의 약어로, 기존의 전화망(TDM, Time-Division Multiplexing)을 대체하고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패킷 기반의 새로운 통신망입니다. NGN은 IP(Internet Protocol)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통화뿐만 아니라 데이터, 음성, 동영상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NGN은 기존의 전화망과 달리 패킷 스위칭(Packet Switching) 기술을 사용하며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는데 이를 통해 더욱 효율적인 대역폭 활용과 빠른 전송 속도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NGN은 SIP(Session Initiation Pro.. 2023. 5. 7.
LTE-M(Long Term Evolution for Machines)이란? LTE-M(Long Term Evolution for Machines)이란? LTE-M은 Low Power Wide Area (LPWA) 통신 기술 중 하나로, 이동 통신 기업들이 Internet of Things (IoT)를 위한 네트워크로서 도입하고 있는 기술입니다. 기존의 LTE 통신 기술은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기 위한 것이 주 목적이었습니다. 그러나 IoT 기기들은 대부분의 경우 소량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며, 낮은 전력 소비와 넓은 커버리지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LTE-M은 기존의 LTE 통신 기술에 비해 전력 소비를 줄이고, 실내와 실외 모두에서 좋은 커버리지를 제공합니다. LTE-M은 3GPP에서 정의한 Cat. M1과 Cat. NB1 두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되며 IoT 분야의 .. 2023. 4. 27.
LPWA(Low Power Wide Area)란? LPWA(Low Power Wide Area)란? LPWA는 대량의 IoT 기기를 저비용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저전력 광역 통신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낮은 전력 소비, 저가 단말기, 안정적인 커버리지, 대규모 단말기 접속 등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LPWA 기술은 스마트 시티, 스마트 홈, 스마트 농업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 기존의 셀룰러 네트워크를 보완하고 새로운 IoT 비즈니스 모델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LPWA 기술은 대용량의 센서, 기기, 장치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IoT 시스템의 핵심으로 저전력 소비와 대역폭 확보를 통해 넓은 지역을 커버하면서도 높은 연결성과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LPWA 기술은 대표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NB.. 2023. 4. 27.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란?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란?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는 소프트웨어 로봇을 사용하여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RPA는 소프트웨어 기술로, 프론트 및 백오피스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전통적인 IT 개발 방식보다 더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 컴퓨터를 조작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식을 모방하며 이를 통해 RPA는 데스크톱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많은 양의 수작업을 자동화하여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작업을 줄여 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직원의 부담을 줄여주는 것이 목적입니다. RPA 소프트웨어 로봇은 일상적인 업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 2023. 4.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