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어 사전

OSS(Open Source Software)란?

by 테크원 2023. 7. 17.
KoreanEnglishFrenchGermanJapaneseSpanishChinese (Simplified)

OSS(Open Source Software)

OSS(Open Source Software)란?

개방형 소스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 OSS)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으며, 누구나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 변경,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OSS는 자유 소프트웨어(Free Software)와 유사한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자유롭게 사용, 수정, 배포할 수 있는 권리를 사용자에게 부여합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를 따르며, 이 라이선스는 저작권자가 소스 코드를 실행, 연구, 수정, 재배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합니다. 따라서 누구나 소스 코드에 접근하여 개발자나 사용자 모두가 해당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OSS는 1980년대 이후 인터넷과 함께 발전해 왔으며 전 세계 개발자 커뮤니티의 협력과 기여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온라인 상의 저장소(GitHub, GitLab 등)에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이런 개방적인 접근 방식은 소프트웨어의 투명성, 협업성, 품질 개선을 촉진하며, 혁신과 발전을 도모하며, 이는 협업, 동료 평가, 커뮤니케이션, 개방성 등의 가치를 기반으로 다양한 커뮤니티 프로젝트가 진행된 결과로, 대표적인 OSS로는 Linux®, Ansible, 쿠버네티스 등이 있습니다.

 

OSS의 특징

1. 소스 코드 공개: 소스 코드가 모두 공개되어 있어 누구나 코드를 살펴보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자들이 서로의 코드를 공유하고 상호 검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합니다.

 

2. 수정과 재배포의 자유: 사용자는 소스 코드를 수정하고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개선과 맞춤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3. 커뮤니티 협업: 다양한 개발자와 사용자들이 프로젝트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버그 수정, 기능 개선, 문서화, 테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질적 향상을 이룰 수 있습니다.

 

4. 라이선스: 대부분의 OSS는 특정 라이선스(예: GNU General Public License, MIT License, Apache License 등)를 사용하여 배포됩니다. 이 라이선스는 사용 조건과 권리를 명시하며,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종류

GPL (GNU General Public License)

GPL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입니다. GPL을 따르는 소프트웨어는 수정하거나 재배포할 때 해당 소스 코드를 반드시 GPL로 공개해야 합니다. Linux, Git, MariaDB 등이 GPL을 적용한 소프트웨어의 예시입니다.

AGPL (GNU Affero General Public License)

AGPL은 GPL을 기반으로 한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때에도 해당 소스 코드를 공개해야 합니다. MongoDB가 AGPL을 적용한 소프트웨어의 예시입니다.

LGPL (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LGPL은 GPL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 오픈 소스 라이선스입니다. LGPL을 따르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전체 소스 코드를 공개할 필요 없이, 사용된 라이브러리의 소스 코드만 공개하면 됩니다. Firefox가 LGPL을 적용한 소프트웨어의 예시입니다.

Apache License

Apache License는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소스 코드를 수정하고 배포할 때 아파치 라이선스와 저작권 고지사항을 유지하고 변경사항을 공지하면 됩니다. Android, Hadoop 등이 Apache License를 적용한 소프트웨어의 예시입니다.

MIT License

MIT License는 MIT에서 만든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가장 느슨한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이선스와 저작권 고지사항을 유지하기만 하면 됩니다. Bootstrap, Angular.js 등이 MIT License를 적용한 소프트웨어의 예시입니다.

 

OSS의 장점

1. 비용 절감: OSS를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제품을 무료로 다운로드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소프트웨어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상용 소프트웨어 대안에 비해 훨씬 저렴한 총 소유 비용(TCO)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유연성: OSS는 소스 코드에 접근할 수 있어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고 재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소프트웨어를 커스터마이징하거나 확장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상용 소프트웨어는 제공자가 정한 기능과 인터페이스에 의존해야 합니다.

 

3. 품질 향상: OSS는 전 세계의 개발자들이 협업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소프트웨어를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많은 사용자와 개발자들이 소프트웨어를 검토하고 테스트하면서 버그를 신속하게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4. 혁신 촉진: OSS는 누구나 개발과 개선에 참여할 수 있는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기술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솔루션을 공유하고, 다양한 영역과 분야에 적용하며,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혁신을 도모하고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OSS의 단점

1. 보안 취약성: OSS는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는 공격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스 코드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고, 보안을 고려하지 않은 코드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신뢰성과 보안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많은 OSS 프로젝트에서는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패치를 통해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고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2. 지원 부족: OSS는 주로 사용자 커뮤니티에 의존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수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는 사용자 커뮤니티의 지원이 부족할 수 있으며,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적절한 도움을 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무료로 제공되는 OSS이지만 외부 지원을 위해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3. 호환성 문제: OSS는 다양한 플랫폼과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소프트웨어나 시스템과의 연동이나 이식 시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OSS를 다른 시스템과 통합하려는 경우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며, 호환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정리

OSS(Open Source Software)는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수정, 재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이를 통해 협업, 투명성, 개방성의 가치가 실현되며,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개발과 혁신이 이루어집니다.

 

OSS의 장점은 비용 절감, 유연성, 품질 향상, 혁신 촉진 등으로 나타납니다. 비용 절감은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유연성은 소스 코드에 접근하여 커스터마이징하고 확장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다양한 개발자들의 협업과 피드백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품질과 보안을 품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누구나 참여하여 새로운 아이디어와 솔루션을 공유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합니다.

 

하지만 OSS에는 몇 가지 단점도 존재합니다. 보안 취약성은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악용될 수 있는 위험이 있음을 의미하며, 지원 부족은 사용자 커뮤니티에 의존하여 문제 해결과 지원이 제한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호환성 문제는 다른 시스템과의 연동이나 이식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OSS는 현재까지 다양한 성공적인 프로젝트와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소프트웨어 개발과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활용은 비용 절감과 유연성을 제공하면서도 개발자와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가져다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응형